(관련 기사) “제조기업 디지털 전환 ‘골든타임’…혁신에 투자해야” (헤럴드경제, 2023-04-18)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30418000653 “제조기업 디지털 전환 ‘골든타임’…혁신에 투자해야” [헤럴드경제=정찬수 기자] 주요국이 첨단 제조 전략에 집중하는 가운데 국내 기업의 제조역량에 디지털 기술을 하루빨리 접목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기업이 과도한 금융자산을 확보하기보다 혁신에 대한 과감한 투자가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한국무역협회(KITA)가 18일 삼성동 트레이드타워에서 ‘DX 이그나이트, 현재가 된 미래 스마트 제조・물류 컨퍼런스’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행사에는 제조・물류 디지털 전환에 관심이 있는 기업인 2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명자 한국무역협회 디지털혁신본부장은 “우리나라 GDP에서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7.8%로 OECD 최고 수준이며, 제조업은 총수출의 84% 차지하는 우리 경제의 근간”이라고 진단하며 “대내외적 요인으로 제조업의 경쟁력 약화가 우려되는 만큼 우리 기업들은 제조역량에 디지털 기술을 접목해 생산성과 시너지를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달 무역협회가 진행한 국내외 제조・서비스 업계 디지털 전환 실태 조사에 따르면 국내 기업들은 ‘제품 개발 및 공정 프로세스 혁신’을 향후 디지털 전환 계획의 1순위로 꼽았다. 이 본부장은 “기업별로 디지털 역량이 다르고, 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은 아직 초기 단계”라며 “무역협회는 스마트 제조 등 디지털 전환 정보를 제공하면서 기업의 개별 여건과 산업군별 맞춤형 지원을 시행하겠다”고 말했다. 오윤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신산업전략연구단장은 주제발표를 통해 “제조 혁신 추세 속에서 우리 기업들은 기업 내 유보금 등 금융 자산 확보보다 신규 혁신에 과감하게 투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송지환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책임연구원은 “기존 인력 교육 훈련을 통해 현업에 바로 투입할 수 있는 인재 양성 방안이 시급하다”며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는 주요 선도국과 비교해 기업의 소프트웨어 기술 도입 및 활용에 제약이 없도록 관련 법・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최봉기 삼성SDS 상무는 ‘제조업의 스마트 물류 혁신과 사례’ 발표에서 “디지털 기발 물류 데이터 트랙킹과 AI(인공지능)를 접목한 디지털 포워딩 시장은 2021년 약 10% 수준에서 2026년까지 48%까지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디지털 물류가 도입되면 화주의 판매 기회 손실은 65~70% 줄고, 재고는 35~70% 감소하는 등 공급망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진 패널 토론에서 문정현 한국정보산업연합회 상무는 “AI의 영향력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주 활용 분야가 미디어, 가상세계 등 콘텐츠, 번역, 비서, 검색 등 서비스 분야, 반도체 솔루션 개발, 보안 등 IT(정보통신) 분야에 집중되어 있다”면서 “제조 및 물류 기업들도 생산성 향상, 프로세스 분석 및 관리 측면에서 AI를 반드시 접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andy@heraldcorp.com 작성일 2023-04-19 14:17 조회수 64
(기고) 첨단제조패권 심화 속 미국 혁신전략 (산업통상자원부 월간 통상 12월호 특집호) https://tongsangnews.kr/webzine/1632302/sub6_2.html 첨단제조패권 심화 속 미국 혁신전략 오윤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미래사회연구단장 최근 글로벌 사회에서는 과학기술이 산업과 연계되고, 더 나아가 국가안보와의 연계가 강조되면서, 이른바 ‘첨단기술패권 경쟁의 시대’에 접어들고 있다. 현실화되고 있는 디지털 경제(digital economy)와 가속화되는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속에서 세계 각국은 첨단기술패권 확보를 위해 치열한 경쟁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첨단기술패권 경쟁의 시대, 숨겨진 이면 “첨단제조패권 경쟁” 글로벌 강국인 미국 역시 이러한 경쟁에서 예외일 수는 없다. 디지털 경제 시대의 핵심품목인 반도체 등 첨단품목에 대한 기초연구부터 연구개발(R&D), 제조 인프라까지 총체적인 지원을 추진하는 ‘반도체와 과학법(CHIPS and Science Act, 이하 반도체법)’이 통과됐으며,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Inflation Reduction Act) 등을 통해 전기차 및 배터리 분야에서의 경쟁을 가속화하고 있다. 사실 미국은 과거부터 첨단기술 R&D 분야에서는 전 세계 기술을 선도하고, 기술패권에서 이미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국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이 첨단기술패권 경쟁 속에서 위기감을 느끼고 각종 정책을 펼치는 이유는 무엇일까. 지난 8월, 반도체법 통과 후 나온 바이든 대통령의 성명을 살펴보면, 반도체 시장에서 기술적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미국이 가지고 있는 위기감과 문제의식을 엿볼 수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성명에서 “미국이 반도체를 발명했음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 공급의 10%밖에 차지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첨단 반도체의 경우 생산이 전무하다(America invented the semiconductor, but today produces about 10 percent of the world’s supply and none of the most advanced chips)”며, “전 세계 생산의 75%를 동아시아에 의존하는 상황(Instead, we rely on East Asia for 75 percent of global production.)”을 지적했다. 결국은 아무리 뛰어난 첨단기술을 개발해도, 이를 산업·경제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제조 경쟁력이 뒷받침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현재 전 세계적으로 치열해지고 있는 첨단기술패권 경쟁의 본질은 첨단제조패권 경쟁이라고도 할 수 있다. 오바마 행정부 때부터 이어진 강력한 제조혁신 정책 지속 가능한 혁신과 성장 관점에서 제조업의 역할에 대해 미국은 오바마 행정부 때부터 이미 주목해 왔다. 2000년대 고용 없는 성장(jobless growth)과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침체된 미국 경제의 회복을 위해 2009년 출범한 오바마 행정부는, 미국 제조업의 부흥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본계획을 본격 수립하고, 첨단제조 국가전략계획(National Strategic Plan for Advanced Manufacturing), 첨단제조기술 확보를 위한 ‘국가 제조업 혁신 네트워크(NNMI; National Network for Manufacturing Innovation)’ 등의 정책을 제시했다. 또한 1990년대부터 확산돼온 미국 기업의 오프쇼어링(offshoring), 즉 생산비를 절감하고자 공장 등의 제조시설을 해외로 이전하던 것을 본국으로 회귀시키는 리쇼어링(reshoring) 정책을 추진했다. 신자유주의 물결 속에서 연방정부의 역할 축소와 맞물려, 미국의 민간 기업들이 비용효율성을 추구하면서 생산설비를 해외로 이전하기 시작했는데, 이 과정에서 제조업의 기반을 잃어버렸다는 지적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오바마 행정부의 이러한 기조는 공화당 트럼프 행정부, 다시 민주당 바이든 행정부에서도 이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자국 기업의 미국 회귀는 물론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등 한국의 글로벌 기업을 자국에 유치하려는 정책까지 추진하고 있다. 특히 바이든 행정부는 최근의 글로벌공급망 등 통상문제와 결부한 제조업 강화 정책을 추진 중에 있다. ‘미국산 우선구매(Made in America)’ 행정명령(Executive Order 14005) 등을 통해 해외 조달 비중을 제한하고 자국 조달 비중을 높여 제조 공급망을 미국 중심으로 재편하려고 추진 중이며, IRA 등을 통해 미국 내에 전기차 및 배터리 생산설비 유치를 확대하려는 전략이 그것이다. 디지털 경제 시대, 첨단기술 초격차를 위한 공격적인 지원 확대 이에 더해, 디지털 경제 시대의 범용목적기술(GPT; General Purpose Technology)이 될 수 있는 인공지능(AI), 양자기술(quantum technology)에 대한 R&D 투자도 확대 중에 있다. 일반적으로 범용목적기술이라고 하면 특정 분야나 산업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분야에서의 기술혁신은 물론 사회 전반의 혁신을 유발해 사회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기술을 의미한다. 디지털 기술의 활용이 보편화되는 미래에는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사람의 다양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인공지능, 대용량 데이터의 빠른 연산처리를 지원하는 양자기술 등이 범용목적기술로 활용될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 미국은 이들 디지털 경제 시대의 범용목적기술 선도와 첨단기술 분야 초격차를 위해 강력한 지원정책을 추진 중이다. 먼저 인공지능 분야에서는 지난 2020년 국가 인공지능 이니셔티브법(National AI Initiative Act) 통과를 기반으로, 국가적 차원에서 공격적인 투자를 실시하고 있다. 인공지능 기술 R&D 분야에서 미국의 리더십 유지 및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 시스템을 개발해 글로벌을 선도하고자 추진하는 이 법의 운영을 위해 백악관 과학기술정책국(Office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내에 별도의 사무국(NAIIO; National Artificial Intelligence Initiative Office)을 두고 인공지능 분야 기술 역량 확보는 물론, 인공지능 기술의 산업적 활용을 촉진하고자 개인정보보호, 권리 등 법·제도적 측면까지 포함하는 로드맵과 실행계획을 수립 중에 있다. 양자기술 분야에서도 미국의 공격적인 행보는 이어지고 있다. 양자역학적 현상을 활용한 컴퓨팅 기술은 기존 슈퍼컴퓨터보다 훨씬 빠른 연산을 가능하게 해 실시간 연산이 필요한 자율주행차 등에서의 활용뿐만 아니라, 보안·기술에서도 핵심이기에 미래 혁신산업으로의 성장이 기대되는 분야다. 바이든 행정부는 2019년 트럼프 행정부에서 출범한 양자연구집중지원법(National Quantum Initiative)을 지속적으로 추진함은 물론, 최근에는 반도체법의 일환으로 양자 연구 프로그램 등에 연간 약 1억5,000만 달러 규모의 신규 투자를 발표하고, 양자연구집중지원 자문위원회(National Quantum Initiative Advisory Committee)를 강화하는 등 양자 분야에서의 주도권 확보에 역량을 결집 중이다. 첨단제조패권 경쟁 시대의 핵심전략, 스마트 제조 치열해지는 미국과 중국의 경쟁구도와 함께 첨단기술패권, 첨단제조패권을 둘러싼 경쟁도 더욱 심화될 것이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R&D 투자 비중 2위인 국가이자, 글로벌 제조업 경쟁력 지수가 2006년 이래 5위권에 진입한 한국 역시 이러한 글로벌 패권 경쟁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한국이 첨단제조패권 경쟁에서 지속 가능한 성장과 산업혁신을 위해서는 첫째, 스마트 제조의 활용을 통한 제조경쟁력 강화 전략이 필요하다. 우수한 정보기술(IT)을 바탕으로 한 디지털 역량을 제조업에 접목해 첨단제조 역량을 고도화하는 스마트 제조는 우리에게 효율적인 전략일 것이다. 미래의 주요 제조공정을 자동화된 장비와 로봇이 수행할 것으로 기대되는 가운데, 우리 경제의 여전한 주력산업인 제조업을 대규모 고용창출의 관점에서 접근하기보다는 새로운 기술과 아이디어를 제품으로 완성하는 ‘혁신의 인큐베이터’ 역할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둘째, 해외진출 기업의 국내 복귀 지원(유턴기업 지원)에 스마트 제조를 연계해 국내에 복귀하는 제조·생산시설의 고도화를 지원하는 ‘스마트 리쇼어링(smart reshoring)’(가칭) 정책의 도입도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스마트공장의 도입은 유연성 향상과 효율적인 생산을 가능하게 하고, 노동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리쇼어링에 긍정적이라는 연구결과도 발표되는 가운데, 글로벌공급망의 불안정성·불확실성은 디지털 기술을 적용한 리쇼어링 트렌드를 더욱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정부의 지속적인 정책적 관심에도 불구하고, 기업이 현장에서 체감하는 효과는 낮은 편인 현 상황에서 법인세 감면, 고용창출 중심으로 논의됐던 기존 리쇼어링 이슈를 스마트 제조 경쟁력 확보 관점까지 확대하려는 접근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무엇보다도 스마트 제조 전략의 본질은 ‘제조’에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고, 지나친 정보기술·소프트웨어 중심의 접근보다는 제조현장의 운영기술(OT) 역량을 강화하려는 전략이 중요할 것이다. 단순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이나 중소·중견기업의 디지털 전환 지원 관점에서 벗어나 첨단제조의 역할과 관련 생태계 육성을 위한 정책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첨단제조패권 경쟁 시대의 중요한 대응전략일 것이다. 작성일 2022-12-31 10:23 조회수 68
(3차년도, 2022년) 스마트생산 열린혁신랩 운영 및 연구 (3차년도) 연구보고서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에서 운영중인 스마트생산 열린혁신랩의 3차년도(2022년)의 최종 연구보고서입니다. (https://stepi.re.kr/site/stepiko/report/View.do?reIdx=1064&pageIndex=1&cateCont=A0201) 본 자료는 스마트생산 열린혁신랩 (3차년도) 운영 및 성과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연구목적 ○ 제조업과 서비스업이라는 기존의 분절적·이분법적 산업정책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융합 분야에 적합한 정책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는 추세 - 정책이나 정부의 주요 기본계획, 종합계획 등의 전체적인 구조(structure)나 틀(framework) 등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정책전문가 집단(官·硏·學) 주도로 생성되는 정책 수립과정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할 필요 ○ 본 연구는 열린혁신 정책방법론을 스마트생산 분야에 적용하는 다년도 연구로 기획되었으며, 현장 수요에 기반을 둔 질적(qualitative) 증거를 통하여 근거기반(evidence-based) 정책연구를 보완하고자 추진 주요내용 ○ (Part 1) 국내 스마트생산 현황 진단 및 분석 - 국내 스마트생산 생태계 현황을 진단하고, 스마트생산 관련 주요 부처(중소벤처기업부,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정책 현황에 대하여 분석 - 워킹그룹을 통해 상향식(bottom-up)으로 발굴한 의제와 정책 당국에서 하향식(top-down)으로 추진 중인 정책 간의 정합성을 분석 - 또한 현장 전문가 중심의 워킹그룹이 가지는 현안 대응이라는 한계 극복을 위해 기업 데이터를 활용한 양적(quantitative) 증거 획득 연구도 병행 ○ (Part 2) 스마트생산 열린혁신랩 운영 및 정책의제 발굴 - 열린혁신 정책방법론을 활용한 현장 전문가 중심의 워킹그룹 구성 및 스마트생산 열린혁신랩 운영을 통하여 제조데이터 거래·공유 활성화 방안과 스마트생산의 산업계 적용 활성화 방안에 대한 정책의제를 도출 정책대안 [ 연구의 의의 ] ○ (열린혁신 정책방법론의 보완·발전) 열린혁신 정책방법론에서 추구하는 “현장”의 개념을 “산업 현장”뿐만 아니라 “정책 현장”까지 확대 - 관련 재정사업의 현황을 면밀히 분석하고, 워킹그룹에서의 제안과의 정합성을 검토하는 등 정책아젠다를 발굴하는 단계에만 집중한 기존 방법론의 한계 보완 ○ (현장 중심의 스마트생산 지원정책) 그간 진행되어 온 정부의 스마트공장 정책이 변곡점에 놓인 가운데, 정책의 수혜 대상인 “산업 현장”을 대상으로 정책 수요를 발굴하고 향후 정책의 수립 및 보완과정에의 근거 제시 [ 시사점 ] ○ (국내 스마트생산 혁신생태계 분석) 국내 스마트생산 혁신역량과 글로벌 트렌드 간 차이가 존재하며 향후에는 글로벌 시장을 고려한 전략이 필요 - 전 세계적으로 하드웨어 시장이 소프트웨어 시장 보다 규모가 크고 더욱 빨리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는 가운데, 국내에서는 아직은 공공 주도로 소프트웨어 기술 중심의 기술 개발 및 보급·확산이 이루어지는 경향 ○ (스마트생산 열린혁신랩 실행과제(안) 평가 및 분석) 산업 현장에서 상향식으로 제안한 내용이 정부에서 하향식으로 기획한 정책과의 정합성이 높다는 점은, “산업 현장”과 “정책 현장” 간 괴리가 크지 않고 유기적으로 동작한다는 반증 - 실제 정책이 추진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 여전히 그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는 사업의 경우, 수혜대상 기업의 산업별·규모별 등에 따라 종합적으로 재구조화 및 홍보 필요 ○ (제조데이터의 구조화·표준화 및 거래 활성화 기반 조성) 양질의 제조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제조과정 단계별 발생 데이터를 분류하고 체계적 구조화 필요 - 제조데이터 거래 시 메타데이터만 공개하고 계약을 체결할 수 있는 장치 마련할 필요 - 제조데이터 제공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 표준화 참여기업 규제 완화·바우처 제도 등을 통한 직접적인 지원혜택 필요 - 자율적인 시장 거래를 통한 가격결정은 초기에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초기 거래 기준선 설정 필요 - 제조업 수직계열화 등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대기업이 참여할 수 있는 방안 및 장기적으로는 국제표준과의 연계 필요 ○ (산업계 스마트생산 활성화 방안) 스마트생산 구축 및 활성화를 위한 정부 지원 사업의 법적근거를 ‘산업 디지털전환’에 포괄적으로 반영하여 안정적 지원 기반 마련 필요 - 스마트생산 도입 지원 시,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해야 하며, 공급망 상류에 속하는 다수의 중소·중견기업에 스마트생산 도입 및 활성화 실무를 지원하기 위한 전문기관 도입 검토 - 스마트생산 도입 이후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안정적인 수요처를 확보하고 협력사업을 공급망 하류부터 상류까지 순차적으로 추진할 필요 - OT 기반의 미드커리어 인력의 IT 교육 참여 확대 및 현장 중심의 커리큘럼을 설계하여 수료 후에 즉시 활용할 수 있는 융합인력 확보 작성일 2022-12-30 13:10 조회수 35
(관련 연구) 글로벌 디지털 산업 박람회 동향과 미래 산업 시사점: CES, MWC, HM, IFA 리뷰 (윤정섭, 진설아, 오윤환, 2022) https://stepi.re.kr/site/stepiko/report/View.do?reIdx=313&pageIndex=1&cateCont=A0501&searchYear=&searchCondition=&searchKeyword=&searchSort= 본 연구에서는 CES(미국 소비자 가전 박람회), MWC(스페인 바르셀로나 정보통신 전시회), HM(하노버 산업 박람회), IFA(베를린 국제 가전 박람회)의 주요 트렌드를 검토하여 미래 산업의 핵심 테마를 모색하고, 향후 기업과 정부의 대응 방향을 모색하였다. 주요 대상에 따라 박람회를 ①최종소비자(B2C(Business to Consumer))를 대상으로 하는 CES와 IFA, ②중간재 기업(B2B(Business to Business))을 대상으로 하는 HM, ③사회 전반의 인프라를 대상으로 하는 MWC로 구분하였다. 4개의 박람회에서는 디지털 초융합(트윈), 사회와 산업의 지속가능성을 공통된 트렌드이며, 글로벌 기업과 정부의 최종적인 지향점은 메타버스와 지속가능성의 확대였다. 주요 대상에 따른 전시와 비전은 다음과 같다. ㅇ (B2C) 소비자 가전의 범위를 확장하고 첨단 디지털 제품들을 연결하기 위한 초연결시스템과 소비자들이 주체적으로 지속가능성 향상에 참여할 수 있는 제품을 공개 ㅇ (B2B) 제조현장에서 첨단 장비를 연결하고 데이터를 확보하고 새로운 사업 모델을 창출하기 위한 디지털 융합 플랫폼과 산업과 사회 전반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대안을 제시 ㅇ (디지털 인프라) 산업과 사회의 디지털 초융합의 핵심인 네트워크 인프라와 이를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과 유즈케이스를 공개하였으며 지속가능성 향상을 위한 솔루션 마련 본 연구에서 글로벌 디지털 산업 박람회의 트렌드와 아젠다를 검토하여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ㅇ (시사점1) 메타버스를 기반으로 가상공간의 활용성과 확장성에 대응하여 국내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촉진 정책과 미래 사회 문제 대응을 위한 제도를 개선 ㅇ (시사점2) 환경 부문뿐만 아니라 사회적 책임과 조직·거버넌스 구조의 변화에 대한 고민의 결과를 실체화하여 비즈니스 모델을 다양화 ㅇ (시사점3) 글로벌 기업과 주요국을 중심으로 추진되는 지속가능성 강화에 대응하기 위해 관련 기술 개발 지원 및 보조금 지원을 확대 ㅇ (시사점4) 지속가능성이 높은 메타버스 기반의 전시공간을 마련하고, 자유로운 네트워킹 활동이 가능한 오프라인 공간을 제공하여 수출 증진을 위한 지원 사업을 변화 작성일 2022-09-29 17:31 조회수 297
(관련 기사) "글로벌 제조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스마트 제조'를 강화해야" (한국일보, 2022-09-03)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2090123360000337?did=NA 미국과 중국이 글로벌 경제 패권 경쟁을 두고 각축을 벌이는 상황에서 우리 기업들이 경쟁력을 갖기 위해선 '게임 체인저'로 불리는 스마트 제조 개념을 도입해 스마트 공장 및 산업 공유지 등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오윤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미래사회연구단장은 지난달 26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한국일보가 주최한 '미국 행정부의 전략산업 육성책과 대응 방안' 토론회에서 이렇게 주장했다. 오 단장은 최근 제조 환경 변화를 ①공급망 재편 ②디지털 전환 ③탈탄소화로 설명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시기 미중 갈등까지 더해져 불거진 공급망 교란 상태를 극복하기 위해 우방국 중심의 글로벌 공급망을 만들거나, 코로나19 시기의 비대면 경제에 대한 새로운 수요 창출을 위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려는 시도가 늘고 있다. 또,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제조업을 비롯한 산업 구조를 친환경적으로 바꾸려는 움직임도 트렌드가 됐다. 이런 상황에서 개별 국가들은 글로벌 가치사슬 재편과 지역 가치사슬 다극화에 흔들리지 않는 국내 제조업 및 산업을 갖추려는 전략을 추구하기 시작했다.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이나 반도체 칩·과학법도 결국 제조 인프라를 미국 내 설치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 산업정책이라는 것이 오 단장의 설명이다. 중국은 대부분 제품을 국내에서 만들고 있는데, 생산 부문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정책을 펴고 있다. 오 단장은 이런 상황에서 한국의 제조업 및 산업 분야를 강화하기 위해 스마트 공장을 질적으로 성장시키고, 스마트 제조 기반의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스마트 제조는 산업 전반의 게임체인저"라면서 "제조부터 소비까지 전 과정에 디지털 기술을 적용해 제조 전반의 전환을 꾀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해외로 진출했던 기업이 국내로 되돌아와 첨단화를 통한 제조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이끌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제조 설비를 비롯해 관련 공급 인프라, 고급 인력 등이 모인 '산업 공유지'를 만들 수 있게 정부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제안하기도 했다. 송주용 기자 juyong@hankookilbo.com 작성일 2022-09-03 16:19 조회수 262
(관련 기사) "미중 갈등 틈새 속에서 전략적 판단과 기술 경쟁력 갖춰야 기회 잡을 수 있어" (한국일보, 2022-09-03)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2090213300000534?did=NA 편집자주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연달아 국내 제조업 육성책을 내놓으며, 외국 기업에까지 ‘Made in USA’를 요구합니다. 미국의 ‘제조업 국가 복귀’ 선언은 글로벌 제조업 공급망을 어떻게 바꿀까요? 한국 기업들은 어떤 전략으로 대응해야 할지를 알아봅니다. 한국일보가 지난달 26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개최한 '미국 행정부의 전략산업 육성책과 대응방안' 토론회에 참석한 양은영(오른쪽 두 번째)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지역조사실장이 발제하고 있다. 홍인기 기자 조 바이든 미국 정부가 반도체 칩·과학법이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등 반도체나 배터리 등 전략 제조업을 미국 내 유치하고 육성하는 정책을 추진하면서 세계 경제는 요동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 여파로 불거진 공급망 교란 상태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세계화 흐름에서 벗어난 미국의 산업 정책에는 중국 견제라는 목적까지 더해져 파장이 컸다. 글로벌 경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미국과 세계 최대 시장인 중국 사이에 놓인 우리 기업들이 어떻게 해법을 찾아야 할지 알아보기 위해 '미국 행정부의 전략산업 육성책과 대응방안'에 대한 토론회가 열렸다. 한국일보가 지난달 26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개최한 이 토론회에는 양은영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KOTRA) 지역조사실장, 김동수 산업연구원 해외산업실장, 정용택 IBK투자증권 수석연구위원, 오윤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미래사회연구단장이 발제 및 토론자로 참석했다. 이들은 각각 △미국 혁신제조업 육성을 위한 프렌드쇼어링 정책 △미국과 중국의 산업정책 그리고 우리의 대응방안 △'BUY AMERICA' 강화시기, 우리 기업의 현황과 대응 △첨단제조 패권경쟁의 시대 스마트제조 기반의 제조경쟁력 강화방안 등을 주제로 발표했다. 참석자들은 미 정부의 산업 정책이 본질적으로 첨단 제조업 분야의 생산 라인을 미국 내 구축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다는 데 동의했다. 이를 위해 안정적 공급망을 재구성하기 위해 멕시코, 캐나다 등 인접 국가들과 협력(니어쇼어링)이 필요해졌다. 또, 글로벌 패권을 두고 경쟁을 벌이던 중국을 '경제 안보' 측면에서 견제하기 위해 인도·태평양 지역의 우방국까지 포함한 프렌드쇼어링으로 확장했다. 전문가들은 이렇게 미국과 중국이 서로 배타적인 시장을 형성하는 상황 속에서 우리 기업들이 전략적인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미국과 수출 의존도가 높은 중국 사이에서 정확한 정세 분석과 판단을 거쳐 살 길을 찾아야 한다는 의미다. 김동수 실장은 "바둑의 정수(正手)처럼 핵심 산업의 기술 경쟁력 같은 펀더멘털이 갖춰져야 전략적 자율성이 늘어날 수 있다"며 "그런 경쟁력을 위해 인재 양성과 지원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양은영 실장은 "미국과 중국 중 한쪽을 포기할 것이 아니고, 미국 시장에서 중국이 빠져나간 부분을 채우기 위해 미국에서 육성하는 기술 기업들과 우리가 핵심 경쟁력을 가진 기업들이 협력하는 것도 기회가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또, 미국이 견제하는 첨단 산업 외의 분야에서 중국과 협력을 지속해야 한다는 제언과 핵심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첨단 기술을 보유한 해외 기업을 인수합병(M&A)해서 첨단 기술과 지식을 흡수하는 전략을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안아람 기자 oneshot@hankookilbo.com 송주용 기자 juyong@hankookilbo.com 작성일 2022-09-03 16:17 조회수 214
(관련 연구) 주요국 스마트제조혁신 정책 비교와 한국에의 시사점 (오윤환 외, 2022) https://stepi.re.kr/site/stepiko/report/View.do?reIdx=73&pageIndex=1&cateCont=A0204&searchYear=&searchCondition=&searchKeyword=&searchSort= 본 보고서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이 발주하고, 과학기술정책연구원(주관 연구기관), (사)스마트제조혁신협회(공동 연구기관)가 공동으로 연구한 「해외 스마트제조혁신 정책 동향 조사·분석 연구」의 결과입니다. 이전에 발간되었던 4개국 국가별(일본, 중국, 독일, 미국) 보고서의 내용을 종합하고, 한국의 제조혁신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한 종합보고서입니다. 연구책임자 오 윤 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김 문 선 (사)스마트제조혁신협회 사무국장 연구참여자 김 선 우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김 은 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원(일본) 구 윤 모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원(중국) 진 우 석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원(독일) 이 승 재 (사)스마트제조혁신협회 선임연구원(미국) ※ 본지에 실린 내용은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의 공식의견과 다를 수 있습니다. 본 내용은 무단전재를 금하여, 가공·인용할 경우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작성일 2022-06-15 21:21 조회수 197
(관련 기사) [스마트테크 코리아] “스마트제조 혁신 정책 분기점, 스마트공장 질적 도약 필요” (산업일보, 2022-06-13) http://kidd.co.kr/news/227787 [산업일보] 한국의 스마트공장이 양적 성장에만 집중해 고도화를 이루지 못하고 기초 수준에 머물러 있는 한계를 가진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에 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 관점에서 스마트공장의 질적 도약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 10일 ‘디지털 경제 시대의 스마트제조 혁신전략’ 정책 세미나가 서울 삼성동 코엑스(COEX) C, D홀에서 열린 ‘제11회 스마트테크 코리아(SMART TECH KOREA 2022)’ 전시장 내 컨퍼런스룸에서 개최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오윤환 단장 스마트제조 혁신전략과 정책 지원방안 등을 모색하기 위한 이번 세미나에서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오윤환 단장은 “정부가 다양한 정책을 수행하면서 중소·중견기업의 제조 역량 제고를 위해 중소벤처기업부 주도로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지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며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3만 개 구축 목표 달성은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부의 보급 목표치와 함께 생산성과 매출액 등 중소 제조기업의 경쟁력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었다. 지난해 중기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스마트공장 도입으로 생산성 28.5%, 품질 42.5%, 납기준수 16.4%, 매출액 7.4% 향상, 원가 15.5% 절감의 성과를 거뒀다. 긍정적 성과가 있는 반면, 제조업의 고도화를 위해 필요한 질적인 성장은 더딘 상황이다. 오윤환 단장은 “구축한 스마트공장의 약 75%가 기초 수준에 머물러 있다”며, 공급업체 산업이 생산 관리 시스템(MES), 전사적 자원 관리(ERP) 등 IT 중심으로 형성됐다는 한계점을 가진다고 지적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오윤환 단장 특히, 국내 스마트제조 전략이 IT 기업 위주로 진행하면서, 운영기술(OT) 및 제조장비를 공급하는 기업의 경쟁력 확보가 어려운 상황이라는 오윤환 단장은 “국산 제조장비의 핵심품목 경쟁력 중 신뢰성이 세계 최고 대비 80% 수준으로 낮게 평가됐다”고 말했다. 제조장비의 신뢰성은 제조업에서 매우 중요하다. 신뢰성이 담보되지 않으면 생산하더라도 제품을 납품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제조 사이클에서도 해당 장비를 사용하는 부분에 대한 신뢰도가 상당히 낮아지기 때문에 스마트제조 공정에도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오 단장은 “그동안의 양적 성장 성과를 적극 활용해 디지털 전환 관점에서 질적 성장으로의 도약이 필요하다”며, “지금이 스마트제조 혁신정책의 분기점”이라고 밝혔다. 이어 “스마트제조의 질적 성장을 위해서는 중소기업이 시뮬레이션 툴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면서, ▲OT·IT 융합형 스마트제조 테스트베드 구축 ▲수요기업별 맞춤형 시뮬레이션 툴 보급 및 활용 지원 ▲시범 분야 선정 ▲디지털 전환 지원을 위한 맞춤형 금융지원 등을 정책적 지원 방안으로 제안했다. 조해진 기자 jhj@kidd.co.kr 작성일 2022-06-13 08:03 조회수 131
(3차년도, 2022년) 「디지털 경제 시대의 스마트제조 혁신전략」 정책세미나 개최 https://stepi.re.kr/site/stepiko/ex/bbs/View.do?pageIndex=1&bcIdx=38384&cbIdx=1204&mode=&tgtTypeCd=ALL&searchKey=%EC%8A%A4%EB%A7%88%ED%8A%B8&searchSort=REG_DT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은 지난 6월 10일(금), 오후 2시 코엑스(COEX)에서 (사)스마트제조혁신협회(회장 강철규)와 공동으로「디지털 경제 시대의 스마트제조 혁신전략」 정책세미나를 개최했습니다. 이번 정책세미나는 올해 11회째를 맞은 스마트제조, 메타버스 등 첨단 산업기술 분야 융·복합 비즈니스 전시회인 스마트테크 코리아 2022(Smart Tech Korea 2022)와 연계하여 진행됐습니다. 양승우 부원장(과기정책연)의 개회사와 강철규 회장((사)스마트제조혁신협회)의 환영사를 시작으로 진행된 이번 정책세미나는 과기정책연의 ‘스마트생산 열린혁신랩’을 통해 도출된 스마트제조 주요 분야별 혁신전략에 대한 발제가 이뤄졌다. 양승우 부원장(과기정책연)은 개회사를 통해 “디지털 경제의 도래를 직접 체감하고 있는 산업 현장의 목소리를 모아 조금 더 기민하고 효과적인 정책적 대응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이날 정책세미나의 의미를 강조했습니다. 본격적으로 진행된 정책세미나의 첫 번째 발제를 맡은 오윤환 미래사회연구단장(과기정책연)은 “스마트제조 기반의 중소·중견기업 디지털 전환 지원방안”이란 제목으로, “중소 제조기업의 디지털 전환 시도를 지원하기 위한 접근성과 활용도 높은 스마트제조 테스트베드 구축”을 제안했습니다. 이어진 두 번째 발제에서는 송명진 부연구위원(과기정책연)이 “제조데이터 공유·거래 활성화 방안”에 대해 소개했습니다. 마지막 발제를 맡은 윤정섭 부연구위원(과기정책연)은 “자동차 산업에서의 스마트제조 동향과 활성화 방안”에 대한 제목으로 “국내 핵심 제조산업인 자동차 산업 역시 미래차로의 전환 과정에서 제조데이터의 중요성이 주목받고 있는 만큼, 가치사슬 내 다양한 기업 간 데이터 공유 생태계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최종화 미래혁신전략연구본부장(과기정책연)이 좌장을 맡아 진행된 패널토론에는 김문선 사무국장((사)스마트제조혁신협회), 강명구 Executive Technology Partner(아마존 웹 서비스), 이항구 연구위원(한국자동차연구원), 박한구 단장(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이 참여하여, 국내 스마트제조 활성화를 위한 지원방안에 대해 폭넓은 논의를 가졌습니다. 작성일 2022-06-10 18:02 조회수 168
(관련 연구) 中企 디지털 전환을 위한 스마트제조 고도화 정책은? (오윤환, 2022) 中企 디지털 전환을 위한 스마트제조 고도화 정책은? - OT·IT 융합형 스마트제조 선도 테스트베드 구축 등을 통해 가능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인사이트(Insight)」 제288호 발간 - □ 국내 스마트공장 구축 실적은 정부가 2022년까지 목표로 제시한 3만개 보급 달성 가능 전망 등 양적인 성장에도 불구하고, 스마트제조 산업생태계 전반의 경쟁력 확보 및 고도화에는 여전히 한계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이하 과기정책연(STEPI), 원장 문미옥)은 「STEPI 인사이트(Insight)」제288호를 통해 중소·중견 제조기업의 디지털 전환 시도를 지원하기 위한 접근성과 활용도 높은 스마트제조 테스트베드 기반의 제조혁신 정책을 제안했다. □ 오윤환 미래사회연구단장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글로벌 공급망 재편 과정 속에서 제조업의 역할이 다시금 재조명되고 있다“라면서 제조업 고도화를 위한 대표적 정책으로 추진되고 있는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이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이와 함께, 이번 연구는 중소·중견기업들이 스마트제조의 적용과 더 나아가 디지털 전환을 성공적으로 이룩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정책방안을 제시하고자 진행되었다고 설명했다. □ ‘스마트제조 테스트베드 기반의 중소·중견기업 디지털 전환 지원 방안’이란 제목의 이번 보고서는, 지난 2년간 수행한 「스마트생산 열린혁신랩 운영 및 연구사업」을 통해 발굴된 정책의제를 구체화하기 위한 후속 연구의 결과를 담고 있다. ○ 오윤환 단장은 ”스마트제조와 디지털 전환은 5G, 빅데이터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제조현장에 적용하는 것을 넘어, 산업구조, 노동체계, 법제·시스템 등 사회 전반의 패러다임 변화를 가져올 동인이다.“ 라면서 스마트제조 및 디지털 전환에의 대응방안 도출은 혁신정책의 새로운 도전과제라고 전했다. □ 보고서에 따르면 정부의 스마트공장 구축 실적은 지속적으로 증가해 2022년까지 목표로 제시한 3만개 보급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며, 이는 기업 현장에서의 스마트제조 확산과 제조업 고부가가치화를 위해 정부가 꾸준히 지원해 온 결과라고 소개했다. ○ 그간 정부는 2021년 11월 기준으로 약 2만 5천개의 스마트 공장을 구축했으며, 중소 제조기업의 경쟁력 제고 및 스마트제조의 기반마련을 위해서 보급·확산사업을 추진 중이고 밝혔다. ○ 하지만, 다수의 스마트공장이 기초 수준에 머물러 있고, 공급업체 산업이 특정 솔루션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은 한계라고 지적했다. □ 오윤환 단장은 ”스마트공장은 ICT 기술의 활용 정도와 역량에 따라 ‘기초, 중간1, 중간2, 고도화’의 4단계로 구분된다“라며 현재 구축된 스마트공장은 기초 수준이 74.5%로 이제는 양적 목표를 넘어 활용할 수 있도록 고도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보고서는 국내 스마트제조 전략은 제조장비 산업 등 운영기술(OT) 분야보다 정보기술(IT) 분야 역량 강화에 편중된 상황이며, 생산의 디지털화가 대기업 중심으로 진행되는 경향이 있다고 분석했다. ○ 이와 함께, 제조 과정에서의 시뮬레이션 툴의 중요성 및 활용성이 주목받는데 반해 중소기업들은 고가의 도입 비용으로 인해 영세·중소기업들이 직접 구매하여 활용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 따라서, 스마트제조의 도래가 오히려 대기업과 영세 중소기업 간 혁신의 격차를 가속화된다는 우려도 존재한다고 전했다. □ 오윤환 단장은 중소·중견 제조기업의 스마트공장 구축 및 디지털 전환에 대한 투자의 필요성 및 유인이 높지 않은 점도 언급하면서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 사례에 대하여 체감하지 못한 상황에서 대규모 투자를 결정이 어려울 것이다“라고 밝혔다. □ 이에 따라 보고서는 중소·중견기업의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 및 산업 혁신 선도를 위해 ▲OT(운영기술)·IT(정보기술) 융합형 스마트제조 선도 테스트베드 구축 ▲개별 기업의 스마트제조 시뮬레이션 툴 보급·활용 지원 ▲국내 스마트제조 장비 및 시뮬레이션 툴 경쟁력 제고 등을 제안했다. □ 오윤환 단장은 “기업의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현실화 하는 곳이 바로 생산 현장이다”라면서 기업의 다양한 시도들을 지원하고, 그간 축적된 우리 기업들의 우수한 제조역량과 첨단 디지털 기술 간의 융합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이 중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 이와 함께 오 단장은 “이번 연구의 정책제안이 실제 정책으로 추진된다면 기존 정책들 간의 시너지 효과 창출은 물론, 스마트제조의 도입 및 디지털 전환에 회의적이었던 기업들의 관심도와 참여를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작성일 2022-04-12 09:24 조회수 158